본문 바로가기
의학정보

의학용어 PEG, 위루술, G-tube, 적응증, 관리방법

by dauning 2023. 6. 22.

PEG란 위루술로 많이 알고 있는 것으로 정확한 명칭은 percutaneous endoscopic gastrostomy; 경피적 내시경 위루술이라고 합니다. G-tube라고도 불리는 PEG는 여러 이유로 인해 입으로 음식섭취가 불가능한 환자에게 시행하며, 이전글에서 설명했던 비위관(L-tube, Levin tube)은 단기간 적용한다는 반면에 PEG는 장기간의 치료가 필요한 경우 시행하게 됩니다. 이번글에서는 PEG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1. PEG(경피적 내시경 위루술)이란?

PEG는 구강으로 음식섭취가 어려운 환자에게 적용하며 위식도 역류의 가능성이 높아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함과 장기적인 치료가 필요한 경우 시행하게 됩니다. 비위관과는 다르게 침상 내에서 멸균법으로 진행하지 못하며 영상의학과나 수술실 또는 내시경실에서 진행하게 됩니다.

 

 

2. PEG 적용하는 대상자는?

PEG 적용하는 대상자는 뇌혈관에 장애, 치매로 스스로 섭취가 어려운 대상자, 연하곤란이 있는 대상자, 얼굴의 외상으로 구강 섭취가 어려운 대상자, 인후, 식도, 위장 입구의 협착이 있는 대상자, 식도 천공이 있는 대상자, 입으로의 섭취는 가능하나 기도 흡인의 빈도수가 많은 대상자에게 적용합니다. 한 달 이상 비위관(콧줄)을 끼고 있다고 해서 무조건 PEG를 적용하는 것은 아니며 추후 음식 섭취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는 L-tube(비위관)을 유지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PEG를 적용할 수 없는 대상자도 있습니다. 내시경이 통과하기 어려울 정도의 협착이 있는 상태, 복수가 많이 차 있는 상태, 과도한 비만인 상태, 위장 악성종양 또는 위장 점막에 병이 있는 상태, 위 수술을 한 적이 있는 상태, 횡격막 탈장, 전신 상태가 수술을 진행할 수 없는 상태 일 때, 출혈의 위험이 높은 상태일 때입니다.

구강을 통하여 내시경이 들어가기 어려운 경우 수술실에서 영상을 보며 위에 구멍을 뚫는  gastrostomy를 진행하기도 합니다.

 

3. PEG 삽입 방법

수술 당일은 금식 상태를 유지하며 항응고제를 복용한 이력이 있는지 확인하고 출혈을 일으킬 수 있는 약은 시술 전에 복용을 멈춥니다. 진정진통제를 투여하며 위장 운동을 저하시키는 진경제를 투약합니다. 

식도를 통해 내시경을 넣고 피부 표면을 절개해 바늘을 위까지 삽입하여 가이드 와이어를 통해 관을 집어넣고 고정합니다. 침습적이기 때문에 감염 예방이 중요합니다.

 

4. PEG 관리 방법

PEG 관리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식사 진행하는 동안 상체를 올린 상태를 유지하고 소화가 필요한 시간 동안은 눕지 않아 흡인의 가능성을 줄이도록 합니다. 초기에는 소량으로 시작하여 천천히 섭취 양을 늘리며 적응 기간을 갖도록 합니다. 영양 공급 후 주사기로 물을 넣어주어 관이 막히지 않도록 합니다. 위루관이 빠지지 않았는지 ballooning이 잘 유지되고 있는지 잘 확인하며 위루관이 삽입되어 있는 부분의 피부 상태를 확인합니다. 피부 상태의 변화는 감염의 증상이 될 수 있습니다. 

 

 

 

가정에서 관리하는 경우 시술 후 일주일 2번가량 소독해 주며 너무 자주 시행하게 될 경우 새살이 자라서 좋지 않습니다. 소독약이 마른 후 고정해 줍니다. 삽입 후 7일 동안은 하루 한 번, 그 뒤 7일 동안은 이틀에 한 번 소독하며, 그 뒤 문제가 없다면 드레싱 하지 않고 열어둘 수 있습니다. 또 삽입 후 한 달 동안은 삽입 부위가 치유되면서 유착되지 않도록 하루 한 번 위루관을 한 바퀴씩 돌려주도록 합니다.

염증이 생길 경우 항생제 연고를 처방받아 발라주며, 만약 위루관이 빠졌을 경우 흐르는 증류수에 씻고 다시 배에 넣은 후 응급실로 가야 합니다. 배의 구멍이 막힐 경우 다시 시술을 해야 할 수 있기 때문에 위루관은 배에 다시 꽂아 가도록 합니다. 병원에서 관리하는 것보다 가정에서 관리하는 것이 다소 힘들 수 있습니다. 위루관에 분비물, 응고된 피가 끼어있는 경우 병원에 내원하여 조치받는 것이 좋습니다. 또 환자가 위루관을 빼려는 가능성이 있는 경우 복대를 적용하여 위험성을 줄이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위 기능이 정상인 경우, 액체 형태의 경관급식은 급식이 끝나고 2시간 후가 지나면 위에 음식이 거의 남아있지 않습니다. 2시간 후에도 위 내에 남아있는 음식이 200ml 이상일 경우 흡인성 폐렴의 위험이 높아지기 때문에 관급식을 중단하고 병원에 내원하여 경관영양의 지속성 여부를 확인하도록 합니다.

 

PEG를 한 번 시행하였다고 해서 평생 가지고 살아가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PEG의 적응증이 되었던 원인이 해결된다면 PEG 관을 제거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PEG에 대해 간단히 알려드렸습니다. 앞서 단기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위관과는 다르게 장기적으로 위관영양이 필요할 시 적용할 수 있는 PEG는 침습적 시술로 삽입 후 관리가 중요합니다. 처방받은 항생제는 거르지 않고 잘 투약하고 감염 관리를 잘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