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학정보

헷갈리는 중심정맥관; C-line, PICC, chemoport, perm cath, AVF

by dauning 2023. 6. 16.

중심정맥관은 병원에서 자주 볼 수 있으며, 종류가 다양하기 때문에 헷갈릴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중심 정맥관은 어떤 것이 있는지, 주요 특징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중심정맥관이란?

중심정맥관은 혈관에 자극이 큰 약물이나 고장성 용액을 주입하기 위해 지름이 큰 정맥에 도관을 넣는 시술입니다.

일반적으로 팔이나 다리에 있는 혈관을 말초 혈관이라 부르고, 심장 가까이에 있으며 심장으로 들어가는 큰 혈관을 중심정맥이라고 합니다.  이곳에 15~30cm 길이의 카테터를 넣는 것을 중심정맥관, 중심정맥 카테터, Central line, C-line이라고 합니다.

반복적인 치료로 장기간 사용이 필요한 환자, 고단위 영양수액 및 수혈이 필요한 환자, 정맥 혈관의 상태가 좋지 않은 경우, 지속적인 항암제 주입, 중심정맥압의 측정, 투석이 필요한 경우 삽입합니다.

 

1) 중심정맥관 삽입 부위

중심정맥관 삽입부위는 크게 경정맥카테터(jugular vein catheter, JVC), 쇄골하정맥카테터(subclavian catheter, SVC), 대퇴정맥카테터(femoral vein catheter, FVC) 3가지가 있습니다.

 

2. 중심정맥관의 종류 

중심정맥관의 종류는 크게 카테터의 사용기간에 따라서 장기와 단기로 나눌 수 있습니다. 그 외에도 용도에 따라 투석용과 주입용으로 나누기도 합니다.

 

- 비터널식 카테터

비터널식 카테터는 직접적으로 혈관에 연결하는 것으로 피하에 터널을 만들지 않습니다. 단기간으로 짧게는 2주에서 길게는 2개월 동안 사용가능하며, 항암제, 고농도 영양수액, 항생제를 투여하는 용도로 사용합니다. CVC, PICC, Hemo-cath가 있습니다. 

 

- 터널식 카테터

터널식 카테터는 피하에 터널을 만드는 것으로 감염을 예방하기 좋으며 장기간으로 2개월 이상 사용 가능합니다. 항암제, 고농도 영양수액 및 혈액투석이 가능합니다. Hickman, Perm-cath, chemo port 가 있습니다.

 

- 투석용 카테터에는 동정맥루(AVF), 인조혈관(AVG), perm cath, temporary cath가 있습니다.

 

비터널식 카테터는 퇴원하게 될 경우 제거하지만, 터널식 카테터는 삽입한 상태로도 퇴원이 가능합니다.

 

1) C-line, CVC

대부분 응급 상황에 삽입하는 경우는 C-line이 많습니다. 많은 양의 수액을 주입해야 하거나, 혈관에 작용하여 혈관 수축등을 일으킬 수 있는 약물을 투약할 경우, 출혈 등으로 인해 헤모글로빈 수치가 떨어져 수혈이 필요한 경우에 삽입하며 중심정맥압을 측정하기도 합니다.

삽입 위치는 위에 언급했듯이 크게 세 경우가 있으나 카테터 끝이 위치해야 하는 자리는 모두 상대정맥을 거쳐 우심방 입구에 놓이도록 해야 합니다.

 

- 중심정맥압(CVP; central venous pressure) 측정

중심정맥압은 transducer system을 이용하여 monitor로 확인 가능합니다. 보통 생리식염수를 많이 사용하며, 헤파린을 추가해서 사용하기도 합니다.

 

2) PICC (peripherally inserted central catheter; 말초삽입형 중심정맥카테터)

PICC는 정맥혈관이 좋지 않은 환자들, 항암환자, 고장성영양액 주입 환자, 항생제 지속 투여가 필요한 환자에게 말초정맥(brachial vein, basilic vein, cephalic vein)을 통해 카테터를 넣는 것입니다. 중심정맥에 삽입한 관들은 감염의 위험이 크기 때문에 오랜 기간 사용하기 어려워 말초에 삽입하는 PICC를 선택하게 되며 평균 2~6개월로 장기간동안 사용이 가능합니다.

PICC는 환자가 일상생활을 하면서도 가지고 있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손위생 등 청결을 지키지 않아 카테터를 통한 균혈증이 생길 수 있어 주의해야 하며 사용 시 소독 방법에 대해 잘 알고 있어야 합니다. 1~3개의 lumen으로 카테터 종류는 다양하지만 최근 2-lumen이 사용되는 추세입니다. 3-lumen은 내경이 작아 혈전, 협착 등이 생길 수 있어 잘 사용하지 않습니다. 

혈관이 좋지 않아 채혈이 어려운 환자들은 중심정맥관에서 채혈을 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PICC에서의 채혈은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PICC는 2~6fr로 관이 매우 얇아서 채혈을 하면 세포가 깨질 수 있어 정확한 검사 결과가 나오지 않을 수 있으며, 채혈을 반복할수록 카테터에 혈전이 생길 위험이 커지기 때문에 혈관이 너무 없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채혈을 진행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 PICC heparin locking

카테터를 사용하지 않는 동안 개방성을 유지하기 위해 헤파린을 사용하여 flushing 하는 것을 말합니다. 헤파린:생리식염수=1:100의 희석용액으로 3cc 정도를 flushing 하면 됩니다. 

 

3) Chemo port

chemo port는 항암제를 주입하기 위한 용도로 삽입합니다. 하지만 항암제 외에도 항생제, 영양제, 진통제 주입도 가능합니다. 피부 밑에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육안상 잘 보이지 않으며 동전 크기도 튀어나와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PICC와 마찬가지로 장기간 사용하지 않게 될 경우 heparin locking을 하게 됩니다.

chemo port는 약물을 투여하기 위한 통로로 'chemo port needle'을 연결해야 약물 주입이 가능합니다.

 

4) HD catheter, Hemo catheter

HD catheter는 위의 중심정맥관들과 다르게 두께가 더 두껍고 투석용으로 사용합니다. 2 lumen의 색상이 다르며 투석 진행 시 빨간색은 동맥용, 파란색은 정맥용으로 사용됩니다. 장기적인 사용이 아닌 단기 목적으로  응급 투석이 필요한 경우 응급으로 시술방 이동 없이 삽입이 가능합니다. perm catheter와 다르게 cuff(피하 커프)가 없어서 비교적 감염 위험성이 높습니다. 때문에 2주 이상 유지하지 않으며, 2주 후에도 투석이 필요한 경우에는 혈관조영실에서 perm catheter 삽입을 진행하기도 합니다. 

 

5) perm catheter

perm catheter는 장기간 사용 가능한 카테터로 대부분 오른쪽 위쪽 가슴에 삽입됩니다. 카테터의 피하 커프가 조직과 만나 섬유화 되면서 역행감염을 방지하는 효과를 주어 감염 위험성이 비교적 낮습니다. HD catheter와 마찬가지로 동맥, 정맥 line으로 구분되며 투석 시 인공신장기기에 각 line을 연결하여 투석 진행 후 헤파린 locking을 진행합니다. 투석 중에 검체 채취, 수혈이 가능하나 일반 부서에서는 진행하지 않고, 투석 후 헤파린 locking을 하기 때문에 PT, aPTT lab은 진행하지 않습니다. 감염에 강하다고는 하나 중심정맥관이므로 감염에 주의해야 합니다.

 

 

6) AVF, AVG (동정맥루)

perm catheter를 가지고 있던 환자들이 지속적인 투석이 필요하게 될 경우 AVF, AVG (동정맥루 수술)를 시행하게 됩니다. 때문에 처음 투석을 시작하게 되면 Arm save를 하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AVF, AVG가 사용 가능해질 때까지 perm catheter를 유지 후 제거합니다.

 

- AVF(arteriovenous fistula, 동정맥루)

AVF란 이름 그대로 동맥과 정맥을 연결시키는 수술로 투석 시 빠르게 흐르는 혈액을 견딜 수 있는 혈관을 만드는 것입니다. 튼튼한 혈관이 필요하기 때문에 수술 전 arm save를 유지하며, 수술 후에도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기 때문에 주로 사용하는 팔은 피해야 합니다. 

AVF가 있는 팔은 혈관이 손상될 수 있거나 혈류의 흐름이 느려져 혈전이 생길 수 있는 위험이 있기 때문에 주로 사용하지 않아야 하며 혈압 측정 및 그 외 주사 등을 진행하지 않아야 합니다. 동정맥루를 시행한 환자들은 힘주는 공 쥐어짜기 같은 운동을 시행하라고 교육받기도 하는데 이것은 동정맥루의 혈관벽이 두꺼워지면서 지름이 넓어져 혈관이 성숙되게 합니다. 1~3개월의 시간을 지나 혈관이 성숙되면 AVF를 통해 투석이 가능합니다.

AVF를 가지고 있는 환자는 매 근무번마다 상태를 확인해야 합니다. 정상적인 경우 살짝 만져 봤을 때 부드럽고, 빠른 혈액의 이동이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떨림과 진동이 느껴집니다. 청진 시 '쉬익 쉬익'하는 bruit(잡음) 소리를 들을 수 있습니다. 눈으로 보았을 땐 피부에 농이 있는지, 부어 있거나 발적이 있지 않는지 감염의 징후를 확인합니다.

 

- AVG(arterivenous graft, 동정맥이식)

AVG는 AVF를 만들기 힘들 때 진행하게 됩니다. 동맥과 정맥을 잇지 않고 사이에 인조혈관을 이어주는 방법입니다. AVF보다 안정화 기간이 짧기 때문에 조금 더 빨리 혈관을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fluid가 주입이 되지 않는 lumen은 heparin locking을 시행하여야 막히지 않습니다. 또한 모든 중심정맥관은 감염에 주의해야 합니다. 습하게 유지되지 않도록 oozing이 있을 시 멸균적으로 dressing을 시행하도록 합니다.

 

이번글에서는 여러 가지 중심정맥관들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주요 특징들을 기억하고 실제 임상에서 유용하게 사용하실 수 있도록 합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