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 저혈당이란 보통 혈당이 70mg/dl 이하인 경우를 말합니다. 보통 당뇨라고 하면 고혈당을 생각하지만 저혈당은 고혈당을 치료하기 위한 인슐린 치료 또는 먹는 당뇨약으로 인해 당뇨 환자에게 발생할 수 있습니다. 고혈당이 지속되는 경우도 위험하지만 저혈당에 적절한 방법으로 대처하지 않을 경우 생명에 까지 위험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증상과 대처방법에 대해 잘 알고 있어야 합니다.
1. 저혈당의 이유
저혈당에 빠지게 되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보통 밥을 적게 먹거나 먹지 않는 경우 많이 발생합니다. 특히 당뇨약을 복용하거나 인슐린을 적용한 후 밥을 거르는 경우가 없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그 외의 증상들을 알아봅시다.
- 술을 과하게 마셨을 경우
- 평소보다 많은 양의 운동을 했을 경우
- 적정한 양 보다 많은 양의 인슐린, 당뇨약을 사용할 경우
- 인슐린, 당뇨약의 효과를 증대시키는 식품을 함께 복용하는 경우
2. 저혈당의 증상
저혈당의 증상이 나타날 경우 즉시 혈당 검사를 시행하고, 적절한 대처방법으로 혈당을 조절해야 합니다.
- 심장이 불규칙적 또는 빠르게 뜁니다.
- 손발 떨림 등 경련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두통이 나타나며 어지러움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식은땀을 흘릴 수 있습니다.
- 배고픔을 느낄 수 있으나 구토나 복통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 심할 경우 의식이 혼미해질 수 있습니다.
저혈당에 빠지면 뇌로 포도당이 공급되지 않고, 몸에서는 혈당을 올리기 위한 위와 같은 반응과 나타나게 됩니다.
극심한 저혈당으로 혈당이 20mg/dl 이하로 30분 이상 지속될 시 뇌에 치명적인 손상을 입혀 더욱 위험합니다.
3. 저혈당의 대처방법
저혈당의 대처방법은 저혈당의 증상이 나타날 경우 매우 신속해야 합니다. 의식이 있을 경우에는 즉시 혈당 검사를 진행하며 저혈당임이 확인되었을 경우 혈당을 신속하게 올릴 수 있는 단 음료나 식품을 섭취합니다. 예를 들어 주스, 사이다, 사탕 3~5개, 설탕 15g(1 숟가락), 꿀 1숟가락 등이 있으며, 지방 함량이 많은 쿠키나 땅콩버터, 초콜렛 같은 음식은 혈당이 천천히 오르므로 적절하지 않다는 것을 알고 계시면 될 것 같습니다.
적절한 음식을 섭취 후 15분 이내에 다시 혈당을 측정하여 혈당이 올랐는지 확인합니다. 당질을 너무 많이 섭취해 고혈당을 만드는 것은 좋지 않으므로 80~130mg/dl 정도로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혈당이 70mg/dl 이상으로 오르지 않을 경우 음식을 한 번 더 섭취하면 됩니다.
혈당이 정상으로 측정되었지만 식사 시간까지 1시간 넘게 남았을 경우 간단한 간식을 추가로 드시고, 1시간 이내로 식사 예정이라면 간식 말고 예정된 식사를 진행하시면 됩니다.
의식이 명료하지 않은 경우엔 무리하게 음식을 먹일 경우 질식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가까운 병원에 내원하여 포도당 주사를 맞게 합니다. 글루카곤 주사제가 있다면 근육 주사를 진행하고 의식이 돌아오면 음식을 섭취하도록 합니다. 글루카곤 주사를 맞고 나서도 의식이 돌아오지 않는다면 즉시 병원으로 갑니다.
심각한 저혈당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경우 글루카곤 주사를 처방받아 두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으나 이것은 담당의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당뇨는 흔히들 혈당이 높은 병이라고 생각하고 있지만 인슐린이 제대로 일을 하지 않아 발생하는 질환으로 저혈당의 위험이 항상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있어야 합니다. 임의로 당뇨약물제제의 용량을 늘리지 않도록 하며 식사는 정해진 시간에 적절한 양을 섭취하도록 해야 합니다.
저혈당이 발생할 수 있는 원인들에 유의하며 저혈당을 예방하기 위해 지켜야 할 사항을 지켜야 합니다.
'의학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당뇨병, 헷갈리는 인슐린 종류, 주의사항; 휴마로그, 휴물린, 란투스 (0) | 2023.06.13 |
---|---|
당뇨란? 당뇨 예방 방법 (0) | 2023.06.12 |
수혈 혈액제제 전혈, RBC, PC, platelet, FFP (1) | 2023.06.10 |
산소요법 종류; nasal prong, simple mask, reserve mask, high flow (1) | 2023.06.09 |
헷갈리는 배액관 PCD, CTD, PTBD, ENBD, PCN, barovac, hemovac (0) | 2023.06.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