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학정보

산소요법 종류; nasal prong, simple mask, reserve mask, high flow

by dauning 2023. 6. 9.

산소요법은 임상에서 매우 많이 볼 수 있습니다. 여러 가지 종류가 있으며 그에 따른 효과와 주의점도 다양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다양한 산소 요법들에 대해 간단히 알아봅시다.

 

 

산소요법이란?

산소 요법은 대기보다 높은 농도의 산소를 제공하는 것입니다. 저산소혈증은 산소를 적용하지 않을 때 SpO2가 90% 이하인 것을 말하며 이것을 교정하기 위해 산소요법을 사용합니다.  보통 저산소혈증일 때  적용하긴 하지만 중증 외상 또는 급성심근경색 등 산소 포화도(SpO2)가 95% 이상으로 정상수치임에도 산소를 적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산소요법

- 저유량계(low flow system): nasal prong, simple mask, reserve mask(partial rebreathing mask, nonrebreathing mask)

- 고유량계: venturi mask, optiflow(high flow)

저유량계는 대기에서부터 흡입하여 산소를 얻는 것으로 정확한 산소량을 준다기보다 환자의 호흡 양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고유량계는 필요하는 산소량을 정확하게 제공하는 것을 말합니다.

 

1) Nasal prong(Nasal cannula, 비강 캐뉼라)

Nasal prong은 O2 1L당 FiO2 4% 상승합니다. 비용도 저렴하고 쉽게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FiO2가 정확하지 않고, 6L 이상 공급 시 코 안 점막이 자극되며 FiO2는 더 이상 증가하지 않습니다. 

 

2) Simple mask(단순 마스크)

Simple mask는 mask 안쪽의 공간이 산소 저장소 역할을 해주어 nasal prong보다 더 높은 FiO2를 공급해 줍니다. 5L/min 이하의 산소 공급 시 mask 안쪽에 CO2가 저장되어 재호흡되기 때문에 5L/min 이상의 산소량을 공급하여야 합니다. 산소 공급의 정확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COPD(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에게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때때로 mask가 폐쇄공포증이나 불안감을 일으킬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3) Reserve mask (재호흡 마스크)

Reserve mask에는 Partial rebreathing mask(부분 재호흡 마스크)와 nonrebreathing mask(비재호흡 마스크)가 있습니다. 둘은 비슷하지만 밸브(valve)의 차이점이 있습니다.

partial rebreathing mask는 valve가 없는 mask로 저장낭에서 호기 가스가 mask 밖으로부터 새로 들어오는 산소와 섞입니다. simple mask로 원하는 결과를 얻지 못할 때 사용하며, 저장낭을 불리기 위해 10L/min 이상의 산소 공급이 필요하고  FiO2 60%~90%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nonrebreathing mask는 저장낭에 일방향(one-way) valve가 있어서 호기 시에 mask 옆의 구멍으로 호기 가스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하며, 흡기 시에는 저장낭에서만 환자에게 가스가 공급되도록  합니다. 재호흡과 공기의 혼합을 방지하며 높은 농도의 산소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4) Respiflow

Respiflow는 고유량 산소를 제공해 주며 환자의 호흡 양상에 영향을 받지 않고 5~8L/min의 산소 유량으로 28~98%의 일정한 흡입 산소농도를 공급 가능합니다. 주입구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고 구멍이 작아질수록 Room air의 유입이 줄어들어 FiO2가 높아집니다. 

 

5) High flow (=optiflow =airvo)

High flow는 고유량의 산소를 공급하며 일정한 FiO2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가온 가습 기능이 있어 고유량의 산소를 편안하게 주입 가능하며 기도 건조를 예방, 기도 내 점액섬모운동을 활성화시켜 호흡기계 감염 예방하고 분비물 양상을 개선하는데 효과적입니다. 

high flow의 적응증은 호흡곤란, 저산소혈증이 있는 환자에게 사용하며 성인 기준으로 60L, 100%까지 전달 가능합니다.

고유량 산소를 지속적으로 공급하며 CO2의 재호흡을 감소시키고 폐포 환기를 촉진시킵니다. 

산소 mask로 full 적용하고 있어도 SpO2가 90% 이상 오르지 않는 경우 respiflow를 적용하긴 하지만 대부분 ABGA 상에서 CO2가 쌓여 있는 환자들에게 high flow를 적용합니다.

비강에 적용하는 것이다 보니 mask를 하고 있는 것보다 편안해하는 경우가 많지만 장시간 착용 시 얼굴, 귀 등에 상처가 생길 수 있어 주의해야 합니다. 

 

산소요법 합병증

산소량이 과도할 경우 오히려 폐와 중추신경계에 안 좋은 산소 독성이 발생할 수 있고 환자들은 흉골아래의 불편감을 호소하거나 폐손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특히, COPD 환자는 고농도의 산소를 공급하게 되면 호흡요구 자극이 안되어 급성호흡부전을 초래할 수 있으니 ABGA를 f/u 하면서 PaO2 60mmHg 정도로 유지하며 산소를 점차 줄여나가도록 합니다.

 

비침습적으로 적용하기 쉬운 요법이지만 산소요법마다 적응증이 약간씩 다르며 과하게 적용할 시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저산소혈증의 모든 환자들이 같은 방식으로 산소요법을 적용하지 않는다는 것도 한 번 더 알아두면 좋을 것 같습니다. 간략하게 설명했지만 필요한 기본적인 내용들은 모두 들어있으니 한 번 더 내용을 상기시켜 보도록 합시다.